하관예배
하관예배
영구가 장지에 도착하면 묘소 가까운 편안한 장소에 枸를 안치하고 유가족들은 구가 있는 곳에 정중히 서서 조문객들의
문상을 받습니다.
문상을 받습니다.
- (1) 산역이 끝나고 지실이 조성되면 구를 지실로 운구합니다.
이 때에 운구위원들은 정중히 운구하고 봉띠(결관 끈)을 풀어 그 줄로 하관을 합니다. - (2) 하관 하면서 좌향을 바르게 하며 관 옆을 회와 흙으로 채우고 관 위에 명정을 깔고 횡대를 덮으며 위에서
3번째 횡대만을 열어놓고 하관예배를 드립니다. - (3) 취토할 흙과 삽을 준비합니다.
- (4) 집례자는 묘소 오른쪽에 유족들을 차례대로 서게하고, 왼쪽으로 조문객을 서게 하여 자리를 정돈한 후
하관 예배를 드리도록 합니다. - (5) 횡대를 마지막으로 덮고 취토를 집례자가 한 후에 유가족, 조문객 순으로 합니다.
- (6) 분묘하는 것을 끝까지 보는 것이 가급적 좋으나, 사정에 따라서는 산역하는 자에게 맡기고 하산해서 식사를 하도록 해도
무방합니다. - (7) 화장을 했을 때에는 분골/ 유골을 적당한 곳에 묻거나 특정한 장소(납골당)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 (8) 상황에 따라서는 (무더운 여름/ 한 겨울 푹풍한설/ 폭우가 있을 때) 성경말씀만 봉독하고 축도로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 (9) 장례후의 할일
- 장례를 마친 후 문상해 주신 분들에게 직접 또는 서면으로라도 인사드리는 것이 좋습니다.
- 첫 성묘(삼우일)을 하며 묘역을 정돈하고 예배를 드리도록 합니다.
- 고인의 유품을 보존할 것과 기증할 것을 구분해서 정리하고 필요없는 것은 태우도록 합니다.
- 유품중 원고나 발표했던 글이 있으면 정리했다가 1주기때 출판하면 뜻깊은 일이 될 것입니다.
하관예배의 의의
하관예배는 장지에서 관을 뭍기 전에 드리는 예로써 하관과 더불어 취토순서를 통해 분묘를 이루는 예식까지 함께 포함합니다.
예배 인도자는 하관예배를 통해서 돌아가신 분이 신자인 경우 그의 영혼을 하나님께 의탁하고, 불신자의 경우는 주로 유족들의
안위와 신앙을 위한 위로와 권면의 내용으로 예배를 준비합니다.
예배 인도자는 하관예배를 통해서 돌아가신 분이 신자인 경우 그의 영혼을 하나님께 의탁하고, 불신자의 경우는 주로 유족들의
안위와 신앙을 위한 위로와 권면의 내용으로 예배를 준비합니다.
하관 예배 후
- 1) 하관예배가 끝나면 집례목사가 먼저 취토하고 유가족, 조객 성도의 순으로 취토하되 국화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 2) 하관예배시 합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가족 또는 문중의 관례에 준하는 사항)는 사전 의논하여야 하며 하나님이 기뻐하시지 않는
일들은 일체 삼가하셔야 합니다. - 3) 하관예배 및 취토가 끝나면 유족 중 한 명은 묘소에 남아서 분묘작업을 확인하며, 그 외 유족과 교우 및 조객은 동산식당으로 가서
식사를 하고 귀가합니다.
화장시 예배의 의의
관을 화장장 화구위에 안치하고 앞에 위치한 빈소에서 예배를 드립니다.
또는 화장장에 도착하여 영구차에 관을 모신 문을 열어놓고 그곳에서 예배를 드려도 무방합니다.
또는 화장장에 도착하여 영구차에 관을 모신 문을 열어놓고 그곳에서 예배를 드려도 무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