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인예배
발인예배(천국 환송예배)
발인예배 또는 장례예배라고도 합니다.
고인이 살던 집과 섬기던 교회, 함께 하던 식구들을 떠나 하나님 품으로 돌아가는 의식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장례예배는 하늘나라로 출발하는 고인을 환송하는 의미를 갖는다.
고인이 살던 집과 섬기던 교회, 함께 하던 식구들을 떠나 하나님 품으로 돌아가는 의식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장례예배는 하늘나라로 출발하는 고인을 환송하는 의미를 갖는다.
- (1) 장례는 3일장을 원칙으로 하고 장례일이 주일이 되지 않게 2일장 혹은 4일장으로 해도 무방합니다.
- (2) 운구 때 필요한 면장갑, 운구할 사람 8명 정도를 미리 확인하고
- (3) 발인예배전에 장지에 갈 모든 물품을 영구차에 적재시켜서 예배후에는 관만 모실 수 있도록 모든 조치를 취하는게 편리합니다.
- (4) 장례식은 정중하고 엄숙해야 합니다.
- (5) 운구 행렬은 영정(사진)/집례자, 영구, 상주, 친족, 문상객 순으로 합니다.
- (6) 운상시에는 인위적인 울음이나 곡은 삼가고, 찬송을 부르며 행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7) 영구차를 이용할 경우 상주 등 유가족들은 영구를 모신차에 함께 타도록 하며, 직계상주들은 영구를 모신 관 옆 좌석에 앉습니다.
발인예배(천국환송예배)의
의의
발인예배는 입관되어 있는 돌아가신 분의 유해가 집과 가족을 떠나 장지로 가기에 앞서 돌아가신 분에 대한 추모 및 하나님께 대한
위탁의 의미로 드리는 예배를 말합니다. 이때 영결이라는 용어는 쓰지 않도록 합니다. 왜냐면 기독교의 장례예배는 부활신앙을 기초로 재회를 보장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고전 15:12-58. 살전 4:14-18, 계20-22장)
위탁의 의미로 드리는 예배를 말합니다. 이때 영결이라는 용어는 쓰지 않도록 합니다. 왜냐면 기독교의 장례예배는 부활신앙을 기초로 재회를 보장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고전 15:12-58. 살전 4:14-18, 계20-22장)